2025년 3월과 4월 사이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 보조금 정책에 일부 조정이 이뤄졌다. 정부의 예산 조기 소진 경고와 특정 모델에 대한 보조금 감산 조치 등으로 인해, 구매 타이밍과 차량 선택에 큰 변화가 생겼다.
자동차 보조금은 매달 정해진 고정 정책이 아니라, 예산 소진 상황, 차량 등록 수,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특히 2025년 3월과 4월 사이에는 전기차 보조금 배분 방식이 일부 조정되었고, 일부 차종은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감액되었다. 3월에는 예산의 25%가 빠르게 소진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조기 마감 우려로 신청 접수를 제한하기도 했다. 특히 인기 모델 중심의 신청 몰림 현상이 발생하면서, 효율성 기준 미달 차량에 대해선 감산 조치가 시작되었다. 4월부터는 국고 보조금 감액 및 효율 기준 재조정이 시행되었으며, 환경부는 4월 5일 보조금 조정 공지를 통해 차량별 수정된 금액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차량 구매 시기는 물론, 모델 선택 기준도 다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보조금이 감산된 차량은 다음과 같다.
- 테슬라 모델Y 퍼포먼스: 가격 상한 초과로 지급 제외
- 기아 EV9 AWD 롱레인지: 전비 기준 미달로 일부 감산
- 볼보 XC40 리차지: 국고 보조금 100만 원 감액
- 제네시스 GV60 퍼포먼스: 배터리 효율 기준 미충족 반면 혜택이 유지되거나 소폭 증가한 차량도 존재한다. 쉐보레 볼트 EUV는 효율성 기준 상위권으로 평가되며 최대 보조금을 유지했으며, 르노 조에 및 현대 코나 EV 일부 트림은 지자체 추가 보조금 대상에 포함되었다. 또한 지역별로는 4월 초 현재, 서울과 대구의 보조금 소진율이 40%를 초과하며 일부 모델은 예산이 조기 마감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전북, 강원, 충북은 아직 60% 이상의 예산이 남아 있어 해당 지역 등록 소비자에게 유리한 시점이다.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복잡할 뿐 아니라, 실제 차량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3월 대비 4월의 변화는 일부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인기 모델 중심으로 빠르게 보조금이 소진되기 때문에, 차량 구매 시점과 지자체 신청 타이밍이 매우 중요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차량 성능만이 아니라, 현재 거주 지역의 예산 상황, 국고 보조금 지급 여부, 차량별 효율성 평가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특히 각 지자체 환경청 또는 차량 판매처를 통해 최신 보조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025년 전기차 시장은 보조금 중심의 변화가 점차 커지고 있으며, 정보력이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금전적 혜택으로 연결되는 구조다. 따라서 3~4월의 정책 변화를 놓치지 말고, 구매 시기와 대상 모델을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한다.